목회자 칼럼

모든 위로는 따뜻합니다.
2025-04-19 14:07:44
신성교회
조회수   11

위로 받아야 할 사람은 많이 있지만 위로하는 사람들은 아주 소수입니다. 위로를 받을 준비된 마음도 필요합니다. 아무리 위로하고 싶어도 마음을 닫고 있을 때 방법이 없다고 합니다. 위로를 받아 들인 다는 것은 새로운 시작을 말하는 것이고 위로받고 시작하는 것에는 아픔을 통해 얻어진 재산 즉 경험이라는 것을 가지고 새롭게 출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시인 박목월의 아들 박동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자신을 성공으로 이끈 정신적 멘토가 바로, 어머니라고 말합니다. 그가 초등학교 6학년일 때 6.25 전쟁이 일어나자 아버지 박목월 시인은 먼저 남쪽으로 떠났고 그는 다섯 살짜리 여동생, 젖먹이 남동생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 서울에 남았지만 상황은 좋아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삼 형제와 어머니는 보따리를 들고 무작정 남쪽으로 향해 길을 떠났습니다. 그렇게 피난길에 오른 뒤 평택의 어느 작은 마을에 잠시 머물게 됐지만 전쟁으로 인한 흉흉한 민심에 그의 가족은 쫓겨나 다시 서울로 가야 했습니다.

다음 날 새벽 그의 어머니는 아끼던 재봉틀을 쌀로 바꿔온 후 끈을 매어서 그의 어깨에 지웠습니다. 그리고 서울로 한참을 가고 있을 때 젊은 청년이 그에게 다가왔습니다. "너무 무겁지? 같이 가는 길까지 내가 좀 져 줄게." 순진했던 그는 고맙다며 쌀자루를 맡겼지만 장성한 청년의 발걸음은 어린아이가 따라가기엔 너무 빨랐습니다. 놓치지 않기 위해 정신없이 따라가다 보니 뒤에 있던 어머니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초조해진 그는 쌀자루를 달라고 했지만, 청년은 이를 무시한 채 더 빠르게 걸었습니다.

결국 갈림길에서 쌀자루를 포기하고 그 자리에 주저앉았습니다. 한 시간쯤 지났을 즈음 어머니가 도착했고 어머니를 보자 눈물이 터진 그는 울며 자초지종을 설명했습니다. 그러자 어머니는 가족의 생명과 같은 쌀자루를 잃어버린 아들을 가만히 껴안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도 내 아들이 영리하고 똑똑해서 어미를 잃지 않았구나."

자신조차 스스로 바보 같다 생각됐지만 따뜻하게 보듬어 준 어머니의 한마디에 앞으로는 똑똑한 사람이 되겠노라 결심하게 됐습니다. 한 사람의 가능성은 열매를 맺기 전까진 크기와 무게를 알 수 없는 신비로운 새싹과 같아서 주변에 따뜻한 말 한마디에 작은 꽃이 되기도, 큰 나무가 되기도 합니다.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첨부 파일
671 우리의 감정은 전염성이 있습니다. 신성교회 2025-05-08
670 배려는 권리가 아닙니다. 신성교회 2025-04-26
669 모든 위로는 따뜻합니다. 신성교회 2025-04-19
668 병이 되는 소유욕 신성교회 2025-04-14
667 인생의 금메달 신성교회 2025-04-05
666 젊은 모습으로 살아갑시다. 신성교회 2025-03-29
665 삼나무 뿌리같은 ‘우리’가 됩시다. 신성교회 2025-03-22
664 우리는 모래와 같기 때문에 소망있는 것입니다. 신성교회 2025-03-22
663 끝난 것 아닙니다. 신성교회 2025-03-22
662 비전을 가지자로 도전하라 신성교회 2025-03-22
661 버큰헤드 정신을 아시는 가요? 신성교회 2025-03-22
660 홀로 가야합니다. 신성교회 2025-03-22
659 어떤 영적전쟁을 하고 계신가요? 신성교회 2025-03-22
658 신호를 주시는 이유 신성교회 2025-03-22
657 쓰임받음에 기뻐합시다. 신성교회 2025-03-22
1 2 3 4 5 6 7 8 9 10 ...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