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이 가까워지면서 은퇴에 대해 말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40살이 겨우 넘었는데도 그만하고 싶다고 하고 고3들도 그렇게 말하고 자식들을 돌보는데 지친 엄마들도 그만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믿음을 가진 사람들은 그만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잘못된 버릇을 고치거나 죄를 멀리하기 위한 결단을 할 때 그만이라는 결단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힘든 일을 그만하고 싶다는 마음은 매일같이 생기고 매일같이 견디고 있기도 합니다. 그만이라고 말하지 않고 나의 뒤편에 계신 분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면 고난만이 줄 수 있는 탁월한 열매를 얻게 합니다.
겨울 동안 기르고 수확한 보리가 어느덧 바닥을 보이려 합니다. 이제 곧 다가올 보릿고개를 넘기 위해서는 빨리 모내기를 마쳐야 하지만, 메마른 땅에는 봄이 되어도 비가 오지 않고 논바닥은 쩍쩍 갈라지기만 합니다. 가족의 배고픔을 누구보다 잘 아는 농부는 말라비틀어지는 논에 계속 괭이질합니다. 아무리 힘들어도 마른논을 갈고 또 갑니다. 괭이를 휘두르는 농부의 손이 부르트고 쏟아지는 땡볕에 얼굴에 주름이 더욱 깊어집니다.
누가 봐도 농부의 행동은 쓸모없어 보였습니다. 물도 없는 논을 힘들게 파헤쳐 봤자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하지만, 천둥소리와 함께 비가 쏟아져 내리면 온 식구가 뒤늦은 모를 심었습니다. 이처럼 물길이 닿지 않는 산골짜기 같은 곳에는 비가 와야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있습니다. 평평하고 기름진 찰배미 논은 대지주들이 차지한 경우가 많았기에, 가난한 농부들은 소작을 부쳐 먹거나 물길이 닿지 않는 높드리, 다랑논을 경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처럼 물길이 전혀 닿지 않는 논은 비가 오지 않으면 제때 모내기를 못 하곤 합니다. 그래서 농부는 천둥이 치기만을 기다리는데 오로지 빗물에 의존해서 경작하는 논을 '천둥지기'라 합니다.
먼지처럼 곱게 갈린 논에 비가 오면 논은 이내 곤죽이 되는데, 그러면 뒤늦게 논을 갈고 할 것도 없이 모를 꽂아나가기만 하면 됐습니다. 농부가 마른논을 갈고 또 갈았던 괭이질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때로는 절대 끝이 보이지 않는 듯한 일에 한없이 매달려 발버둥 쳐 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오랜 시간 노력했던 일들이 풀리지 않을 때 생각합니다. '그건 불가능한 일이야. 무리야. 할 수 없어. 포기해.' 하지만, 바로 그 순간이 우리들 삶에 천둥과 함께 비가 내려치는 그 순간이 될 수 있습니다. 끝까지 도우시는 분과 함께 끝까지 가보는 것이 최고의 선택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첨부 파일 |
---|---|---|---|---|
679 | 항구에 묶어둔 어선 | 신성교회 | 2025-06-28 | |
678 | 그만이라고 말하고 싶은데 | 신성교회 | 2025-06-21 | |
677 | 단기선교팀이 프놈펜에 전해준 약 | 신성교회 | 2025-06-13 | |
676 |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를 기울이라 | 신성교회 | 2025-06-07 | |
675 | 정말 우연한 행운일까요? | 신성교회 | 2025-05-31 | |
674 | 그리운 모성애 | 신성교회 | 2025-05-24 | |
673 | 은퇴 이후에 진짜 모습이 드러납니다. | 신성교회 | 2025-05-17 | |
672 | 기억나지 않는 아버지 목소리 | 신성교회 | 2025-05-17 | |
671 | 우리의 감정은 전염성이 있습니다. | 신성교회 | 2025-05-08 | |
670 | 배려는 권리가 아닙니다. | 신성교회 | 2025-04-26 | |
669 | 모든 위로는 따뜻합니다. | 신성교회 | 2025-04-19 | |
668 | 병이 되는 소유욕 | 신성교회 | 2025-04-14 | |
667 | 인생의 금메달 | 신성교회 | 2025-04-05 | |
666 | 젊은 모습으로 살아갑시다. | 신성교회 | 2025-03-29 | |
665 | 삼나무 뿌리같은 ‘우리’가 됩시다. | 신성교회 | 2025-03-22 |
댓글